※ 각 탭을 클릭하시면 해당 일자의 프로그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2021년 전공의 통합연수교육 (종양∙소아)
2021년 전공의 통합연수교육(종양·소아)
|
||||
분야
|
시간
|
제목
|
연자
|
소속
|
종양
|
좌장: 이기택(가천대)
|
|||
08:00-08:30
|
뇌종양의 병리
|
김미선
|
경북대 병리과
|
|
08:30-09:00
|
뇌종양의 영상학적 특징
|
박지은
|
울산대 영상학과
|
|
09:00-09:20
|
뇌종양의 유전학 및 분자생물학적 특징
|
노태훈
|
아주대
|
|
09:20-09:40
|
정위방사선수술 및 방사선 치료
|
성경수
|
동아대
|
|
09:40-10:00
|
뇌종양 환자의 임상 양상과 수술전후 관리
|
오혁진
|
순천향대
|
|
Break (10:00-10:10)
|
||||
10:10-10:40
|
별아교세포종, 희소돌기아교세포종, 교모세포종
|
임재준
|
CHA과학대
|
|
10:40-11:00
|
뇌수막종
|
김경환
|
충남대
|
|
11:00-11:20
|
두개저 접근법
|
홍제범
|
성균관대
|
|
11:20-11:40
|
신경초종
|
서영범
|
영남대
|
|
11:40-12:00
|
뇌하수체종양
|
문주형
|
연세대
|
|
Break (12:00-12:10)
|
||||
12:10-12:30
|
전이성뇌종양, 원발성중추신경계림프종
|
박재성
|
가톨릭대
|
|
12:30-12:50
|
척삭종, 연골육종, 감각신경모세포종
|
정규하
|
고려대
|
|
12:50-13:10
|
송과체 부위종양, 유표피종, 유피종, 신경장관낭종, 혈관모세포종, 두개골종양
|
김민성
|
서울대
|
|
Lunch (13:10-13:40)
|
||||
소아
|
좌장: 정태영(전남대)
|
|||
13:40-14:00
|
총론: 소아청소년의 진찰, 마취, 집중치료
|
김진욱
|
동국대
|
|
14:00-14:20
|
신경계선천선기형 I
|
이지연
|
서울대
|
|
14:20-14:40
|
신경계선천선기형 II
|
심규원
|
연세대
|
|
Break (14:40-14:50)
|
||||
14:50-15:10
|
뇌수두증: 소아수두증의 진단과 치료
|
정상준
|
울산대
|
|
15:10-15:30
|
소아뇌종양 I. 천막상부
|
정태영
|
전남대
|
|
15:30-15:50
|
소아뇌종양 II. 천막하부
|
피지훈
|
서울대
|
|
15:50-16:10
|
소아혈관질환
|
최정원
|
성균관대
|
|
Break (16:10-16:20)
|
||||
16:20-16:40
|
소아청소년외상
|
김홍래
|
충북대
|
|
16:40-17:00
|
기능성 질환: Cerebral Palsy
|
고은정
|
전북대
|
|
17:00-17:20
|
소아척추질환
|
이호진
|
가톨릭대
|
Time
|
Room A
|
Room B
|
Room C
|
08:00-09:00
|
Scientific Session I
|
||
척추
|
종양
|
혈관
|
|
09:00-09:05
|
Opening Remarks
김우경(KNS President)
|
||
09:05-09:15
|
KNS Congress Presidential Address
이일우(KNS Congress President)
|
||
09:15-09:25
|
JKNS Editor's Report
양희진(서울대)
|
||
09:25-10:00
|
학술상 시상 및 홍보대사 위촉식
좌장: 현동근(인하대), 정영균(인제대)
|
||
10:00-10:50
|
명사 초청강연
|
||
좌장: 이일우(가톨릭대)
|
|||
인공지능 시대, 인간 지성을 성찰하다
정재승(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)
|
|||
10:50-11:50
|
Plenary Session I
|
Plenary Session II
|
|
좌장: 김우경(가천대), 김근수(연세대)
|
좌장: 이선일(인제대), 고현송(충남대)
|
||
성인 척추 변형 수술 후 기계적 합병증을 예측하기위한 머신 러닝
노성현(아주대)
지정토론자: 김승범(경희대) |
비파열성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시 약제 반응도에 근거한 맞춤형 항혈소판제 요법의 효과와 안전성 평가
황교준(분당제생병원)
지정토론자: 박석규(순천향대) |
||
요추 추간판 질환 및 요추 척추 협착증에 대한 수술 후 장기 재수술 비율 : 국가 샘플 코호트 연구 10년 추적 조사
정종명(가천대)
지정토론자: 김주한(고려대) |
폐암의 뇌전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외피세포-간엽세포 이행과 연관된 전사인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히스톤 라이신 메칠화효소와 탈메칠화효소의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에 대한 연구
김영준(성균관대)
지정토론자: 강석구(연세대) |
||
제9흉추 척수신경자극술에서 판전극에 의한 thecal sac의 압박와 CSF space의 감소 정도의 장기적인 변화: 3차원 척수강조영술CT을 이용한 장기 추적검사
손병철(가톨릭대)
지정토론자: 정문영(순천향대) |
한국인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뇌졸중발현양상에 따른 장기간 사망률
장동규(가톨릭대)
지정토론자: 김용배(연세대) |
||
11:50-12:50
|
Main Theme Symposium I
|
Main Theme Symposium II
|
|
좌장: 김인수(계명대), 김긍년(연세대)
|
좌장: 김승기(서울대), 박재찬(경북대)
|
||
데이터 중심의학 그리고 인공지능
윤덕용(연세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)
|
The Origin of Phantom
박철기(서울대)
|
||
From Palliative Therapy, Shifting to New Convergence Therapy In Spine Metastasis
박성배(서울대)
|
Convergence of Endoscopic and Conventional Skull Base Surgery
홍창기(울산대)
|
||
Innovative Strategies to Repair Spinal Cord Injury
한인보(차의과학대)
|
The Emerging Technology Connecting the Legendary Surgeon to Robotics In Cerebrovascular Disease
최석근(경희대)
|
||
The Hybrid Operating Room in Neurovascular Surgery
이종영(한림대)
|
|||
12:50-13:00
|
Break
|
||
13:00-14:00
|
Seminar I
|
||
소아청소년
|
신경통증
|
정위기능
|
|
14:00-15:00
|
Special Lecture I
|
Special Lecture II
|
|
좌장: 허륭(가톨릭대), 이일우(가톨릭대)
|
좌장: 박승원(중앙대), 조용준(한림대)
|
||
Making the Most of MR Imaging During Stereotactic Functional Neurosurgery
Ludvig Zrinzo (University College London, UK)
|
Adult Cervical Deformity -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
Han Jo Kim (Weill Cornell Medical College, USA)
|
||
Regenerative Medicine: Current Developments and Clinical Perspectives
James J Yoo (Wake Fores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, USA)
|
Simple Ideas Can Lead to Disruptive Transformation: Clinical Research In Peripheral Nerve Surgery
Robert J Spinner (Mayo Clinic, USA)
|
||
15:00-16:00
|
Seminar II
|
||
척추
|
뇌종양
|
노인
|
|
16:00-17:00
|
Scientific Session II
|
||
척추
|
소아, 종양
|
정위기능
|
|
17:00-18:00
|
Residents' Session I
|
Scientific Session III
|
|
전공의
|
말초, 신경손상, 정위기능
|
혈관내
|
Time
|
Room A
|
Room B
|
Room C
|
08:00-09:00
|
Seminar III
|
||
초음파
|
말초
|
혈관/혈관내
|
|
09:00-10:00
|
Residents' Session II
|
기초과학발전위원회
|
|
전공의
|
좌장: 한인보(차의과학대), 피지훈(서울대)
|
||
국내 연구비 현황 및 연구 제안서 작성
양승호(가톨릭대)
|
|||
뇌질환 연구를 위한 기초실험의 시작과 전개
강석구(연세대)
|
|||
척추질환 연구를 위한 기초실험의 시작과 전개
김경태(경북대)
|
|||
10:00-11:00
|
Seminar IV
|
||
신경손상
|
중환자
|
간호사
|
|
11:00-12:40
|
Scientific Session IV
|
||
혈관
|
종양
|
척추
|
|
12:40-13:00
|
Break
|
||
13:00-14:30
|
개원의 및 봉직의를 위한 심포지움
|
||
Session I. 신경외과 개원의로 살아남기
|
|||
좌장: 김범태(순천향대)
|
|||
코로나 때문에 우울한 코로나 블루, 멘탈처방법
김지선(순천향대 정신건강의학과)
|
|||
SNS 시대의 개원의로 살아남기
서민(단국대 기생충학과)
|
|||
비급여의 급여화 : 추진현황과 신경외과 개원의의 득과 실
이은주(심평원 급여관리부)
|
|||
14:30-14:50
|
Break
|
||
14:50-16:50
|
Session II. 정말 명의가 되고 싶다면 들어야할 강의
|
||
좌장: 박진규(대한신경외과의사회 회장)
|
|||
어지러움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서 놓치면 안되는 것들
한범기(연세신경과의원)
|
|||
ESWT를 이용한 통증 치료의 기초 및 실제
장태식(스마일신경외과의원)
|
|||
잘 치료되지 않는 통증의 기능의학적 접근
최세환(서울성모신경외과의원)
|
|||
외래환자수를 늘려주는 족부 도수치료
장현동(현병원)
|
Copyright © 2020 by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